요가 14

에카 파다 라자카포타아사나에 얽힌 우화

비슈마의 우화 비슈마는 유디스티라에게 임종 직전 비둘기 부부와 사냥꾼 우화를 들려주었습니다. 사냥꾼의 덫에 걸린 아내 비둘기는 남편 비둘기에게 천재지변을 피하고자 하는 사냥꾼을 맞이하고 그를 잘 보살피라고 말합니다. 사냥꾼이 배가 고프다 하자, 남편 비둘기는 자신의 아내를 사냥하려고 했던 사냥꾼에게 자신을 내어줍니다. 아내 비둘기는 비통함에 같이 세상을 떠나고 두 비둘기 부부는 천국에서 재회했다고 합니다. 그 이후에서야 사냥꾼은 자신의 잘못을 깨닫습니다. 비슈마는 이 이야기를 통해 유디스티라에게 훌륭한 왕은 '은신처를 구하는 자를 환대하고 보호해야 함'을 말하고 있습니다. 힌두 문화에서 '환대'란 신성한 의미를 지닌 의무입니다. 모든 방문자를 신으로 여기는 것, 그것이 왕의 가장 중요한 덕목인 것입니다...

요가 2022.07.10

아르다 마첸드라아사나의 상징성

아르다 마첸드라아사나의 전설 시바는 요가를 유일하게 알고 있던 현자였습니다. 그는 요가의 신비를 혼자만 알고 비밀스럽게 수행을 했습니다. 시바의 아내 파르바티는 시바에게 요가를 가르쳐줄 것을 청했지만, 시바는 응답하지 않았습니다. 시바가 파르바티에게 불멸의 만트라를 알려주기 위해 외딴 동굴로 갔던 것처럼, 이번에 그들은 외딴섬으로 향했습니다. 인적이 끊긴 외딴섬에서 시바가 아내 파르바티에게 요가의 신비를 알려주던 중 그곳을 지나던 물고기가 있었습니다. 호기심이 가득했던 물고기는 그의 가르침을 빠짐없이 집중해서 들었고, 요가를 다른 생명들에게 알려주기 위해 재빨리 해안가를 향했습니다. 그러던 도중 시바에게 물고기는 잡혔고, 요가를 깨우친 대상이 물고기라는 것에 놀란 시바는 물고기를 풀어주었다고 합니다. ..

요가 2022.07.09

카포타아사나의 상징

카포타아사나의 상징 카포타아사나에 얽힌 신화의 주제는 '불멸'입니다. 히말라야의 딸 파르바티는 시바라고 불리는 파괴의 신과 혼인하였습니다. 파르바티는 남편 시바를 너무 사랑했고, 자신이 늙어 죽으면 남편과 헤어져야 한다는 생각에 고통스러워 했습니다. 파르바티는 매일을 시바에게 불멸에 이르는 길을 전주해주기를 애원했고, 시바는 끊임없는 파르바티의 요청에 결국 그녀에게 불멸에 이르는 만트라를 알려주기로 합니다. 파르바티와 시바 부부는 외딴 동굴에 가서 동굴 주변의 모든 존재들을 마법의 불로 제거합니다. 하지만, 둘이 깔고 앉았던 사슴가죽 아래에 두 개의 알이 있었던 것을 그들은 몰랐습니다. 두 개의 알에서 부화한 비둘기는 시바의 만트라로 불멸의 존재가 되었습니다. 반면, 파르바티는 동굴까지의 고된 여정에 졸..

요가 2022.07.08

차크라아사나의 유래와 기능

전차의 바퀴 일화 바퀴 자세라고도 불리는 차크라 아사나는 '전차의 바퀴'와 관련된 일화를 가지고 있다. 과거 판다바 형제와 카우라바 형제의 왕권 다툼에서 전투가 일어났는데, 비등비등한 두 부대는 첨예한 대립을 이루었다. 대립 17일째 황혼 무렵, 최고의 궁수로 여겨지던 아르주나와 그를 강력한 대결 상대로 생각하던 카르나가 마주하게 되었다. 두 사람은 예측불허한 팽팽한 싸움을 했고, 초반에는 카르나가 이길 것처럼 보였으나, 카르나의 전차 바퀴 하나가 진흙에 빠졌다. 카르나는 지구가 4바퀴를 집어삼키면, 죽음이 도래할 것이라는 브라만의 저주를 생각하며 공포에 빠졌다. 이 틈을 타 아르주나는 카르나를 화살로 명중하여 승리하였다. 바퀴가 더이상 운동하지 못하고 멈출 때 죽음이 도래할 것이라는 브라만의 말처럼, ..

요가 2022.07.07

고무카아사나의 유래와 기능

인도 문화에서 소 인도 전통가옥의 화덕 테라코타는 쇠똥 연료로 하고 우유는 수많은 힌두 요리 및 힌두 의식에 사용된다. 이것만 보아도 힌두 신화에서 소가 얼마나 중요한 동물인지 알 수 있다. 농경사회에서 꼭 필요한 역할을 하는 소를 출산하는 암소는 특히 더 중요하게 여겨진다. 이러한 연유로 인도 문학에서 암소는 비를 만드는 구름-우유를 준다는 의미에서-으로 비유된다. 힌두 신화 속 풍요의 상징으로 다뤄지는 카마데누는 우유 바다에서 탄생한 암소이다. 암소는 풍요의 상징이며, 암소와 인간의 삶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고무카아사나 (소머리 자세) Gomukhasasna (Cow Head Pose) 고무카아사나는 소의 얼굴을 형상화한 자세로, 소의 능력과 자질을 본받고자 한 요기들의 소망이 담겨있다. 무릎이..

요가 2022.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