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가

나타라자아사나의 유래

sotsot 2022. 7. 20. 17:47

나타라자아사나의 유래와 의미

 

나타라자아사나의 유래

오래전 리쉬들이 베다의식을 치르고 있을 때 젊은 수행자가 그들의 옆을 지나갔다고 전해집니다. 남녀 불문하고 리쉬들과 그들의 아내들 모두 젊은 수행자에게 매료되어 눈을 떼지 못하였다고 합니다. 이를 견제하기 위해 리쉬들은 호랑이, 뱀, 난쟁이를 만들어내 젊은 수행자를 쫓아내고자 했습니다. 하지만 리쉬들의 의도와는 달리 그 젊은이는 피하기는커녕 춤을 추며 호랑이 가죽으로 옷을 만들어 입고, 뱀을 목걸이 삼았으며, 난쟁이를 밟고 그 위에 섰습니다. 그 젊은이의 정체는 리쉬들이 감히 상대할 수 없는 신, 시바였습니다. 여기서 호랑이는 욕망을 상징하고, 뱀은 집착을 상징하며, 난쟁이는 무지를 상징합니다. 시바의 춤을 통해 깨달음의 이치에 대해 깨달은 리쉬들은, 복잡한 의례적인 과정을 거쳐야만 깨달음에 도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을 통해서도 욕망과 집착, 무지라는 고통을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나타라자아사나 (춤의 왕 자세)
Natarajasana (The Lord of Dance Pose)

나타라자아사나 (춤의 왕 자세), 고난이도 요가자세

 

  • 나타 Nata = 춤
  • 라자 Raja = 왕
    • ⇒ 나타라자 Nataraja = 춤의 신 시바

 

춤의 대가인 시바 신은 춤을 통해 수많은 깨달음을 전합니다. 힌두 문화에서 시바의 춤은 시대의 전환을 의미합니다. 그의 춤은 세계를 창조하고, 유지할 수 있으며, 낡은 것을 파괴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일반적인 춤과는 달리 엄청난 힘을 가지는 것입니다. 나타라자아사나는 몸의 균형을 유지함과 동시에 후면을 접고, 다리를 뒤로 뻗어내는 다양한 움직임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는 만큼, 상당히 어려운 아사나입니다. 춤의 왕 자세를 완성하기 위해서 요기는 꾸준함과 인내심을 가져야 합니다. 나타라자아사나를 통해 요가 수행자는 내면의 수련에서 느낄 수 있는 다층적인 감정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요가 수행에서 오는 순수한 기쁨, 그것이 나타라자아사나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