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자 요가 raja yoga
산스크리트어로 'raja'는 통치자/지배자, 왕이라는 의미를 지닙니다. 이러한 어근을 가진 라자 요가는 자아의 완전한 다스림을 의미합니다. 라자 요가는 빠딴잘리의 『요가 수뜨라』를 기반으로 하여 빠딴잘리(파탄잘리) 요가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라자 요가는 인도의 명상법 중 하나이며, 번뇌를 제거하여 해탈과 독존을 성취하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합니다. 그 수행방법으로는 팔실수법이라고 불리는 아쉬탕가의 수행이 있으며, 이를 통해 차크라의 활성화와 정신통일을 이룩할 수 있습니다.
팔실수법 ashtanga
아쉬탕가 ashtanga는 라자 요가 수행의 기초 과정으로, 제계 yama, 내제 niyama, 좌법 asana, 조식 pranayama, 제감 pratyahara, 집지 dharana, 정려 dhyana, 삼매 samadhi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라자 수행의 8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제계 yama
: 요가 수행 전 자아를 통제하는 단계, 5가지 계율의 준수(불살생, 진실성, 도둑질을 하지 않는 것, 간음하지 않는 것, 소유하지 않는 것) - 내제 niyama
: 내적 삶의 규율, 5가지 규율의 준수(청정/만족/고행/학수/신에게 귀의) - 좌법 asana
: 신체를 수련하는 단계, 육체적 조화를 이룩하여 생명에너지를 획득
몸 움직임의 제한적 이용, 동적인 행동, 이완한 상태에서 발가락을 만지거나 몸을 뒤로 구부리는 행동, 균형의 유지, 불편함 없는 편안한 자세의 5가지 단계로 구성 - 조식 pranayama
: 육체와 정신의 한계를 초월한 상태에서 얻어지는 심층적 자각을 강화하는 단계, 호흡조절의 수련 - 제감 pratyahara
: 신체 감각과 마음을 분리하는 단계, 감각기관의 작동과 인지의 분리, 외부적 요가 단계의 마지막 단계 - 집지 dharana
: 마음을 만트라/상징/생각/관념 등에 집중하는 단계, 감각적 자각이 없는 상태로 자각만 있는 단계
바히르 락샤/마디라 락샤/안타르 락샤로 구성 - 정려 dhyana
: 명상의 단계 - 삼매 samadhi
: 자아에 대한 의식이 없는 단계로 대상만 남게 되는 상태, 개별적 감각의 부재한 최상위 수준의 의식 단계
이렇게 오늘은 라자 요가의 의미와 기원, 그 수행방법인 아쉬탕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요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크라아사나의 유래와 기능 (0) | 2022.07.07 |
---|---|
고무카아사나의 유래와 기능 (0) | 2022.07.05 |
시르사아사나(머리서기)의 변비 개선 효과 (0) | 2022.07.04 |
차크라의 상징색 (0) | 2022.07.02 |
7가지 차크라 종류와 신체부위 (0) | 2022.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