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포타아사나의 상징
카포타아사나에 얽힌 신화의 주제는 '불멸'입니다. 히말라야의 딸 파르바티는 시바라고 불리는 파괴의 신과 혼인하였습니다. 파르바티는 남편 시바를 너무 사랑했고, 자신이 늙어 죽으면 남편과 헤어져야 한다는 생각에 고통스러워 했습니다. 파르바티는 매일을 시바에게 불멸에 이르는 길을 전주해주기를 애원했고, 시바는 끊임없는 파르바티의 요청에 결국 그녀에게 불멸에 이르는 만트라를 알려주기로 합니다. 파르바티와 시바 부부는 외딴 동굴에 가서 동굴 주변의 모든 존재들을 마법의 불로 제거합니다. 하지만, 둘이 깔고 앉았던 사슴가죽 아래에 두 개의 알이 있었던 것을 그들은 몰랐습니다. 두 개의 알에서 부화한 비둘기는 시바의 만트라로 불멸의 존재가 되었습니다. 반면, 파르바티는 동굴까지의 고된 여정에 졸음을 참지 못하고 만트라를 전수받지 못해 불멸의 존재로 거듭나는 데에 실패합니다.
카포타아사나 (비둘기 자세)
Kapotasana (Pigeon Pose)
카포타아사나는 마치 비둘기가 모이주머니를 내밀어 보이는 것처럼 가슴을 펴주는 자세입니다. 비둘기 자세는 상체를 완전히 뒤로 굽혀 척추 전체를 유연하게 함과 동시에 강화해줍니다. 척추건강은 육체의 활력과 건강에 직결되어 있습니다. 척추건강을 잘 유지한다면 인간은 평생 젊게 살 수 있습니다. 비둘기 신화에서도 알 수 있듯, 비둘기는 인간의 불멸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척추를 단련하는 것은 인간이 현실세계에서 불멸의 길에 가까워지는 길일 것입니다. 카포타아사나를 하는 요가 수행자는 아사나 수행을 통해 자신이 그저 '존재함'을 깨닫고, 스스로에게 주어진 것들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태도를 지니게 됩니다. 이런 의미에서 카포타아사나는 불멸신화에서 기원했으나, 사실상 요기에게 '현실'을 깨우치게 해주는 교훈자같은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요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카 파다 라자카포타아사나에 얽힌 우화 (0) | 2022.07.10 |
---|---|
아르다 마첸드라아사나의 상징성 (0) | 2022.07.09 |
차크라아사나의 유래와 기능 (0) | 2022.07.07 |
고무카아사나의 유래와 기능 (0) | 2022.07.05 |
시르사아사나(머리서기)의 변비 개선 효과 (0) | 2022.07.04 |